DI와 IOC 컨테이너
DI - 외부에서 의존하는 객체를 생성하여 넣어주는 것
if (A라는 객체에서 B와 C가 필요함, 이 때 A라는 객체에 setter()나 construct()로 설정하여 직접 생성하지 않고 외부에서 생성하여 설정)
IOC - 예를들어 핸들을 여러가지 준비해 놓고 A라는 자동차를 만들 때 B핸들이나 C핸들 등 원하는 부품을 설치할 수 있다. 이런 부품들을 모아놓은 집합체.
스프링 - 부품을 생성하고 조립하는 라이브러리의 집합체라고 볼 수 있다.
'Information Technology > Spring Frame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게시판 만들기 - 게시판 클래스(CLASS) 구조 (0) | 2018.07.20 |
---|---|
게시판 만들기 - 게시판 구조 (0) | 2018.07.18 |
스프링과 mySql 연동하기 (0) | 2018.06.14 |
게시판 만들기 - DB ER 다이어그램 (1) (0) | 2018.05.25 |
[토비의 스프링 Study (1)] 스프링 설치하고 Git으로 연동하기 (0) | 2018.03.28 |